포항

검색
  • 0
닫기

포항시, 조선시대 성곽 '연일읍성' 국가유산 지정 추진

0

- +

읍성 위치 원경. 포항시 제공읍성 위치 원경. 포항시 제공경북 포항시는 조선시대 성곽인 '연일읍성'의 보존과 활용에 학술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국가유산 지정을 추진한다.
 
'연일읍성'은 남구 대송면 남성2리의 한 마을을 둘러싼 석축 성곽이며, 길이 약 2km, 높이 최대 2.5m에 이르는 성축 성곽이 잔존하고 보존 상태도 매우 양호한 것으로 확인됐다.
 
성곽 안에는 연일 정씨의 시조인 형양공 정습명(鄭襲明, 1096~1151)의 묘와 이를 지키는 재실 '남성재(南城齋)'가 위치해 있다.
 
위치도. 포항시 제공위치도. 포항시 제공연일읍성에 관한 문헌 기록도 풍부하다.
 
'세종실록'에는 1430년과 1439년 경상도 연일에 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1530년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둘레 2,940자, 높이 12자, 우물 3개 등이 언급돼 있다.
 
'여지도서'를 비롯한 다양한 문헌과 고지도에도 읍성의 위치, 규모, 주요 시설에 대한 정보가 상세히 담겨 있으며, 18세기 중엽 제작된 '여지도'에는 읍성과 내부 객사와 동헌의 위치까지 표현돼 있다.
 

북쪽 성벽. 포항시 제공북쪽 성벽. 포항시 제공포항시는 이러한 역사 자료를 바탕으로 올해 연일읍성의 중장기 보존·활용을 위한 학술 용역을 추진하고, 자료를 종합한 보고서를 작성해 연내 경상북도에 제출할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국가유산 지정을 위한 협의에 나설 예정이다.
 
포항시 관계자는 "향후 국가유산으로 지정되면 관련 예산을 투입해 성곽 일부를 정비하고 탐방로와 조망 포인트를 조성할 계획"이라며 "연일읍성을 시민이 향유하는 역사문화 관광자원으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이슈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