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검색
  • 0
닫기

한수원, 정량화 분석법 개발…"방사성폐기물 처분 안전성 강화"

0

- +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사옥. 한수원 제공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사옥. 한수원 제공
한국수력원자력은 자체 R&D 개발을 통해 방사성폐기물 속의 셀룰로스를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방사성폐기물은 원전 운영 중 금속, 플라스틱, 종이류, 작업복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발생한다.
 
이 가운데 종이류, 면류 등에서 발생하는 '셀룰로스'는 처분 과정에서 방사성 핵종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처분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정량적 관리가 필수적이지만 현재까지는 분광분석(물질과 빛의 상호작용을 통해 분석하는 기법)과 같은 정성적 분석 방법에 의존하고 있어 발전소 현장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경주 중저준위 방폐장 하역동굴 사일로 입구.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제공경주 중저준위 방폐장 하역동굴 사일로 입구.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제공
그러나 한수원이 원소분석법을 이용한 새로운 분석 방법을 개발함에 따라 방사성폐기물 속 셀룰로스 함량을 정량화할 수 있게 됐다.
 
한수원은 이를 통해 방사성폐기물의 부피를 줄이고, 처분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이 기술은 방사성폐기물 전담사업자인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등 유관기관과의 공유를 통해 기술의 안정성을 인정받았다.
 
신호철 한수원 중앙연구원장은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셀룰로스 분석 방법을 표준화해 향후 국내 방사성폐기물 관리 기술을 고도화하고 해외 시장에도 진출하겠다"고 밝혔다.
 

추천기사

스페셜 이슈

많이 본 뉴스